본문 바로가기

스포츠/축구

이동국 vs 정조국 ?

  모 싸이트를 보면 여전히 이동국에 대한 비난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동국의 불안정한 볼컨트롤을 동영상으로 편집하고 심지어 정조국보다도 못하다는 그런 내용으로. 사실, 삽질 퍼레이드를 묶어서 편집했을 때 자유로운 선수가 누가 있을지. 저는 기본적으로 감독이 많은 자료와 오랜 경험으로 한 판단에 대해서 신뢰하자는 쪽입니다. 비판의 여지가 관점의 차이일 수는 있어도 비판하는 사람보다 국대 감독이 무지하고 축구를 몰라서 그런 건 아니라는 쪽이죠.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지금 현재 정조국과 이동국은 기본적으로 클래스에서 차이가 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정조국의 재능은 충분하고 젊기에 발전 가능성도 높지만, 그렇다고 청대를 갓 벗어난 선수가 국대 주전 원톱인 이동국을 낮추는 예로 들기에는 적절하지 않다고 봅니다. 저도 정조국 선수에게 기대하는 바가 크지만, 조금 더 기다리고 다듬어도 될 선수인데 국대 원톱보다 낳다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것이죠. 오히려 비슷한 또래의 김동현이 선발에 뽑힌 동안 정조국이 선택되지 못한 이유를 찾는 것이 더 괜찮을 듯 한데. 그게 아니라면 안정환/이동국/조재진의 전술적 활용도를 비교 평가하는게 오히려 훨씬 괜찮은 접근 방식이 아닐지?

 

 한 선수를 판단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경기장에서 한 선수만 찍어서 눈여겨 보는 것이죠. 당일날 컨디션의 편차는 있겠지만 선수의 클래스라는 것은 나오기 마련이거든요. 예를 들자면, 2002 때 덴마크 전 지단은 거의 걸어다닐 수 밖에 없었지만 그만의 클래스는 뚜렷이 드러냈었죠.

 

  그 이유는 축구에서 클래스를 결정짓는 요소는 숙련된 하체의 테크닉과 가속도, 지구력 만큼이나 지능과 감성의 밸런스라고 봅니다. 지능은 단지 윤정환의 지능적 패스웍을 얘기하는게 아니라 코쿠나 유상철처럼 팀에 자신의 능력을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느냐를 이해하고 그 상황에 가장 적합한 플레이 패턴을 찾아가는 것울 말합니다. 또 그걸 꾸준히 유지할 수 있는 감성적 밸런스도 있어야 하구요. 차두리의 경우, 축구적 지능이 떨어진다고 판단은 안하지만-경기를 주도하는데 어떻게든 기여하고 있고 분데스리가의 경험은 절대 무시할게 못되니까요-경험에서 얻어지는 필요한 순간의 결정적 자신감이 아직도 미흡하다는 느낌입니다. 마무리에서 임팩트의 세밀함도 아쉽지만 그것이 결국 자신감과 같이가는 요소라고 판단하구요.

 

  제가 최근 이동국 나온 경기를 두어 차례 직접 봤는데, 하나는 이번 독일전이고 또 다른 하나는 K리그 FC서울과의 경기였습니다. 독일전은 발락과 이동국을 중심으로, FC서울은 이동국-정조국을 중심으로 봤습니다. 결론은 지금 현재 이동국과 정조국은 구사하는 플레이의 클래스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단지 어제 경기만 보고 그러는 것이 아니라는 걸 말씀드리기 위해 이전에 쓴 아래글을 붙입니다.

---------------------------------------------------------------------------------
K-리그 FC서울vs광주상무(2004.10.31)
- 이동국의 움직임에 FC서울이 고전한 경기, 하지만 한번의 제공권 붕괴로 광주상무의 투혼이 무너진 경기

  이동국이 게으르니, 볼핸들링이 나쁘니 뭐 이런 얘기는 시합을 안봤을 대 나올만한 얘기다. 경기 중 이동국의 존재감은 시합을 Dominant할 수 있는 중량감이 있었다. 볼키핑령이 상당했고 고립된 와중에서도 이동국이 공을 잡으면 두세명이 달라붙어야만 했다. 그리고 골에 대한 집착과 투지도 누구보다도 돋보였다. 특히 전반 초반 수비수에게 끈적하게 달라붙어 태클로 공을 따낸 후 동료에게 밀어줘서 크로스바와 골포스트를 동시에 맞춘 장면은 경기 중 최고장면이라 할만했다.

  이동국 외에도 박성배와 같이 측면으로 빠르게 압박해갈 수 있는 윙포워드들이 있었는데, 투지넘치는 수비와 빠른 수비에서 공격으로의 전환은 FC서울가 어려운 경기를 풀어나갈 수 밖에 없는 이유였다. 하지만 광주 상무의 경우, 중원에서 천천히 풀어나가면서 안정적인 크로스나 쓰루 패스로 이동국의 능력을 살려줄 미드필더가 부족했다. 그러다보니 이동국쪽으로 일단 찔러주고 이동국의 키핑 후 측면으로 열어주거나 직접 드리블로 풀어가는 걸 기대할 수 밖에 없었다.

  이날 이동국이 보여준 플레이는 K-리그 급에서는 완성된 원톱의 플레이였다. 루드처럼 제공권과 키핑력 그리고 동료를 이용하는 플레이 등. 한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두꺼운 허벅지에서 뿜어나오는 대포알 같은 킥력이 예전 같지 못하다는 점이다.

  서울 FC는 올림픽 대표 중심의 팀이었다. 좌측면의 김동진은 나이에 어울리지 않는 노련한 플레이를 펼쳤다. 공격가담이 잦은 편은 아니었지만 한번 가담하면 확실하게 크로스로 마무리 해줬다. 반면 우측면의 최원권은 보다 활동적인 윙백이었다. 시종일관 많이 뛰어다니며 상대 매치업된 선수를 피곤하게 하는 스타일이었다. 팀공헌도 면에서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선수.

  FC서울의 두명의 용병이 오늘 경기에서 보여준 경기력은 글쎄올시다였다. 남미 출신 다운 파괴력이나 창조력, 키핑력도 없었고 오히려 경기의 역동성을 가로막는다는 그런 느낌이 들었다. 정조국은 전체적으로 완성된 공격수로 트레이닝 되어가는 과정으로 보인다. 수비가담도 많고 동료를 활용하는 플레이에 신경을 많이 쓰는 편이었고 결국 한골까지 넣었다. 그런데, 아쉬운 점은 예전의 파괴력을 찾아보기 쉽지 않다는 점이었다. 조광래의 경우, 팀플레이를 강조하고 이기는 축구를 하지만 그만큼 개인의 자질을 극대화시키는 그런 감독은 아니지 않나 생각이 들었다.

  후반 종료 10분 전, 측면에서 올라온 크로스에 제공권을 빼앗기면서 좌우로 크게 헤딩으로 흔들리다가 정조국이 정면에서 헤딩으로 밀어넣은 것이 골포스트를 맞고 들어갔다. 그게 결승골 1:0. 순간 이동국의 머리는 하늘을 향했다. FC서울은 굳히기로 들어갔고 광주 상무는 이를 깰 창의성이 부족했다. 경기 종료 휘슬이 울렸을 때 이동국은 아쉬움에 쓰러졌다. 이런 선수에게 아직도 승부욕의 부족을 지적하는 이유는 이해하기 어렵다.

  경기의 전체적인 스피드나 창의력에서는 아쉬움이 있지만 K리그의 수준이 많이 올라왔음을 확인한 경기였다. 전체적인 전술이해도나 수비조직은 양팀 다 상당한 수준에 올라와 있었다. 최종 수비라인은 항상 유기적으로 움직였고 윙백의 플레이와 공격진의 움직임 역시 만족스러웠다. 생각보다 거칠은 반칙도 훨씬 적게 나왔다. 역시 좋은 구장 환경은 좋은 경기력을 결정짓는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하프 타임 때는 그레이 하운드의 경주도 보여주었다. 총알같이 뛰어나가는 그레이 하운드의 질주는 경기 이상으로 재밌는 볼꺼리였다. 좋은 경기와 좋은 운동장, 적은 관중수 만이 다소간의 아쉬움이었다.